10기 서울둘레길 100인원정대 6회차 3-1코스 고덕산 구간(10.0km)
2019.5.18 토요일 당일워킹 소요시간 4시간 이내
광나루역2번출구→광진청소년수련관→광진교북단입구→한강공원광나루지구→암사나들목→암사동선사유적지→고덕산→샘터공원→고덕역4번출구
서울을 한 바퀴 휘감는 총 연장 157km의 서울둘레길은 8개 코스로 서울의 역사, 문화, 자연생태 등을 스토리로 엮어 국내외 탐방객들이 느끼고,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한 도보길로 숲길, 하천길, 마을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둘레길 곳곳에 휴게시설과 북카페. 쉼터를 만들어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했고, 전통 깊은 사찰과 유적지를 연결해 서울의 역사와 문화, 자연 생태를 곳곳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습니다
대중교통으로도 접근하기 쉬우며 주로 경사가 심하지 않은 흙길로 되어 있어 누구나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서울둘레길 고덕. 일자산 코스 지도 입니다, 서울둘레길 자료실에 가면 지도를 다운로드 받아 보실 수 있답니다, 한강, 고덕산, 일자산, 성내천, 탄천을 경유하는 코스로 강길, 숲길. 하천길이 조화롭게 이루어진 코스로 서울의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는 고덕 일자산 코스인데요, 자난번에 3-2일자산 한강 일자산 성내천 탄천을 경유하는 코스를 다녀왔습니다 이번은 광진교를 건너 선사유적지 고덕산을 경유하는 3-1 코스 고덕산 구간 다녀 왔습니다
고덕산 108m
고려의 절의충신(節義忠臣) 석탄 이양중(石灘 李養中) 공이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되자 관직(官織)을 떠나 야인(野人)으로 이곳 산자락에 와 은둔생활을 시작한데서 후일 인근 사람들에 의해 산 이름이 지어진 것입니다
암사동선사주거지
기원전 4000~3000년 무렵에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살았던 움집터 유적으로 1981~1988년 유적지 발굴조사로 움집 등이 복원되면서 암사동 선사유적공원이 조성되었습니다
개인 능력, 이용목적 등을 감안하여 21개 콧로 세분화한 서울둘레길 코스 세부코스 입니다 27개의 우체통 스탬프 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구간의 스탬프를 모두 찍어서 창포원 서울둘레길 관리센터에 가시면 서울시장의 서울둘레길 완주 증명서을 발급해 줍니다
10기서울둘레길 100원정대 6회차 3-1코스 2019.5.18 토요일 당일 워킹산행 문자메시지
늘 그렇듯이 100인원정대 원정하는 날은 새벽내내 잠을 설치게 됩니다, 전날까지 푹 잠을 잘자다가도 원정하는날은 일찍 준비하고 나서야 하기 때문에 잠을 설치게 되더라구요, 광진청소년수련장에 도착해서 벤치에서 잠시 눈을 깜빡깜빡 졸았었는데 날씨가 느므 좋았다지요,
좌측부터 서울둘레길 100인원정대 진행 스탭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미남쌤, 선두쌤, 도란도란 이야기도 잘하는 훤칠한 쌤, 후미를 지켜주는 쌤 예쁜 주임 쌤 등~~
제10기 서울둘레길 100인원정대 3-1코스 고덕산 구간 단체 떼샷
광진청소년수련관에서 광진료를 향해 출발했습니다
100인원정대 3-1코스 고덕산 구간 광진구 북단 입구 스탬프 우체통에 도착했습니다
광진교 초입 선사유적지 스탬프 도장을 꾸욱 눌러 찍고
강변북로가 시원스레 보이는 광진교에는 전망대가 곳곳에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광진교(廣津橋)는 1936년에 준공된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과 강동구 천호동을 연결하는 다리 입니다, 서울에서 한강을 건너는 다리로서는 한강대교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된 다리이며, 6.25전쟁 당시에는 북한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폭파 되었다가 1952년 미군에 의해 복구 되었습니다, 시설물의 노후, 홍수 피해 등으로 인하여 1994년에 철거되어 모두 사라졌다가 2003년 본 교량에 이어 2005년에는 자전거도로와 접속도로를 현대식으로 다시 건설하여 2009년 녹지보행로를 조성하면서 경관조명을 설치하였습니다. 한강교량 최초로 다리 밑에 전망대를 설치하였습니다
광진교에서 바라본 강변북로가 시원스레 보입니다, 미사일처럼 생긴 잠실 롯테타워도 날씨가 느므 좋아서 인지 선명하게 잘 보이더라구요
100인원정대 3-1코스 고덕산 원정 중 광진교에서 본 강변북로
광진교 안내 표지판에 서울둘레길 로고
광진교에서 강변북로를 바라보면서
광진교에서 한강공원 광나루 진입부로 내려 가고 있답니다
한강공원 광나루 진입계단 앞에는 8조 은주씨
광나루 진입부에서 탐스럽게 피어 있는 장미도 찍어 보고
광나루진입부에서 내려와 횡단보도를 건너 한강공원 광나루 방향으로
광나루 한강공원 길가에는 데이지 꽃이 활짝 피었습니다, 햇빛을 피할 곳이 없어 뜨겁네요
100인원정대 한강공원 광나루에 한강드론공원을 지나 갑니다
한강공원 생태경관보전지역 한강 수변길로 들어서고 있답니다, 쭉쭉 뻣은 가로수가 식재되어 있어 시원스럽기 그지 없네요
광나루길 생태경관보전지역을 지나가면서 장미과 찔레꽃이라고 하네요
100인원정대 한강공원 암사나들목 진입부에 도착했습니다
암사나들목 터널을 통과하고
서울둘레길 방향표시는 도로변 횡단보도에서도 볼 수 있답니다 제10기 100인원정대 횡단보도를 건너갑니다
도시텃밭을 대여해주는 하우스 근처 전봇대에도 서울둘레길 원형방향표시판과 주황색깃발이 달려 있습니다
서울암사동유적지 선사유적지 방향으로 도로변 육교로 올라가고
육교를 내려와 육교 아래로
암사동선사유적지 가는길 고덕로 마을길로 진입했어요
선사초등학교 사거리 횡단보도를 건너가고
암사동 선사마을을 지나갑니다
스쿨존 서울선사초등학교를 지나갑니다
100인원정대 암사동선사유적지 주차장에 도착했습니다
사적 제267호 서울 암사동 유적 (신석기 시대)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동구 올림픽로 875
서울 암사동 유적은 한강이 곡류하는 지점에 있으며 강 건너에 아차산이 있습니다, 1925년 을측년 대홍수로 인해 세상에 알려졌고 여러 차례 발굴 조사를 거쳐 약 50여 기의 신석기 시대 집터와 3개의 문화층이 확인되었습니다, 신석기 문화층의 연대를 측정하여 지금으로부터 약 6000년 전 유적인 것으로 벍혀졌으며, 또한 한반도의 중 서부 지방을 대표하는 빗살무늬토기를 비롯해 칼들과 갈판, 그물추, 불에 탄 도토리 등이 출토되어 신석기 시대 사람들의 생활 문화를 추측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서울 암사동 유적은 1979년 7월 26일 사적 제 267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습니다, 현재 유적 내에는 복원 움집 9기와 체험 움집 1기, 박물관, 선사 체험 마을 등을 조성하여 대중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암사동선사유적지 매표소 옆 휴식공간에서 잠시 쉬어 갔습니다,
암사동선사유적지를 지나가면서 밖에서 본 선사유적지 움집
암사동선사마을유적지에서 서울둘레길 고덕역 방향으로
서울둘레길 잘생긴 쌤 서원마을 버스정류장 앞에서 100인원정대 방향을 지시하고 있어요
교량 아래 하천길로
하천길에서 다시 올라왔어요 올림픽대로 구간 고덕산 산길로
하천길에서 산길로 올림픽대로가 저만치 아래로 보입니다
올림픽대로구간 암사아리수정수센터 계단 아래로 가재골 고덕산자락길로
가로수가 울창한 도로변 고덕산자락길 가는길
100인원정대 서울둘레길 고덕산자락길로
서울시 테마산책길 강동 고덕산길(작지만 큰 경치를 품고 있는 산)
고덕산은 완만한 구릉지 형태의 야산으로 해발 50m안팎이 대부분이고 높아야 100m를 넘지 않으며, '산을 오르다' 보다는 '산책하다'라는 표현이 고덕산에는 더 어울립니다, 지형적으로 북으로는 한강을 끼고, 동서로는 숲이 울창하며, 고덕산에 들어가면 소나무 숲에서 풍겨오는 진한 솔향기와 가슴을 후련하게 쓸어내리는 맑은 공기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안에는 온갖 수목들과 새 벌레들이 공존을 합니다,
고덕산자락길 주변 가볼만한 곳
고덕산 전망대
고덕산 전망대에 오르면 눈앞에 한강이 펼쳐집니다, 한강 상류의 수려한 풍치가 한눈에 들어오고 강 너머 남양주시의 풍경이 운치를 더합니다, 이곳은 2006년 서울시 우수조먕명소 10곳 중 한곳으로 선정된 적이 있습니다
고덕산 소나무 군락지
고덕산 전망대에서 내려와 암사정수장 방면으로 내려오면 소나무군락지가 시원한 솔향기를 선사합니다, 이곳은 휴양림을 즐길 수 있는 시설들이 잘 마련되어 있어 숲의 정기를 더욱 잘 느낄 수 있습니다
고덕산 자락길
고덕산에는 폭 2m, 경사도8% 미만으로 바닥에 나무데크를 깔아 거의 평범하게 만들어 평소 산을 쉽게 오를 수 없었던 장애인, 노약자뿐만 아니라 휠체어와 유모차가 다닐 수 있는 '자락길'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2006 서울시 선전 우수조망명소 한강과 남양주시의 전경이 수채화같이 아름다운 강동구의 조망명소
고덕산 주변의 수려한 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지역 고덕산에서 바라본 전망
고덕산 쉼터에서 바라본 전망
고덕산자락길 소나무군락지에서 삥 둘러 앉아 쉬어 갔습니다, 100인원정대 자원봉사자분의 본인 소개시간이 있었어요, 저희들은 벤취에 앉아 행동식을 먹으며 한 숨 고르며 쉬어가고요
발걸음이 가벼운 내리막구간으로 또 다시 원정길에 나섭니다
고덕산자락길에서 만난 고덕동2호 고인돌'
고인돌은 대체로 청동기시대에 조성된 무덤으로 고덕동고인돌은 2004년 세종대박물관의 조사과정에서 발견되었습니다, 고덕동고인돌은 양천허씨 묘역에 인접해 있는데 위쪽 참호옆에 1호가, 이곳에는 2호가 있으며, 고인돌이 위치해 있는 능선은 "가재골"로 불리우며 청동기시대부터 사람들의 생활터전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1,2호 모두 받침돌은 보이지 않지만 덮개들의 재질은 편마암으로 장방향 성혈이 보여지며 군사시설이 들어서는 과정에서 원래의 위치에서 이전된 것으로 보입니다.
Seoul Trail 서울둘레길 고덕역 방향으로
서울둘레길 고덕산 자락길 고덕역 방향
가재골 고덕산 자락길 울창한 숲길로 힐링하며
숲길에서 내려와 아리수로 도로변 멀리 동남로 이정표가 보이고
100인원정대 서울둘레길 6회차 3-1코스 고덕산 구간 고덕산자락길에서 아리수로 도로변 횡단보도를 건너 갑니다
샘터근린공원 삼거리 마을길 샘터배드민턴장을 지나갑니다
샘터배드민터장을 지나 방죽 샘터근린공원 숲길 오르막을 오르고
고덕산 샘터근린공원 위치 방죽근린공원 방향으로
울창한 나무숲길을 지나가면서 나뭇잎들이 내리쬐는 햇빛의 그늘을 만들어 줘서 너무나도 시원했던 숲속향기 가득했어요
고덕보도교를 지나갑니다
서울둘레길 3-1 고덕산 구간 방죽 샘터근린공원 숲길 맨발길 구간을 지나갑니다
도로변으로 나와 횡단보도를 건너 강동그린웨이 명일공원으로
명일근린공원 인공폭포 붓꽃
3-2 일자산구간 출발지점 명일근린공원에 도착했습니다~ 오늘도 완주!!
서울둘레길 고덕 일자산 코스 2 스탬프 우체통 입니다
명일근린공원 앞 이마트 입니다,. 횡단보도 건너
고덕역 4번출구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