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태조이성계 역사탐방 전주 경기전 정전 태조 이성계 어진
명절같은 전주한옥마을
색색이 고운 전통한복을 차려입고
경기전 사적 제 339호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를 봉안한 곳
전주 경기전 하마비
암수 두 마리가 받치고 있는 하마비는
누구든지 이곳을 지나는 사람은 말에서
내려야 한다고 적혀 있는 비석
전주 경기전 홍살문
어진(御眞)은 왕의 초상,
진전(眞殿)은 어진을 봉안한 궁전을 말한다
정자각 정면 기와지붕 아래 붉은
널빤지에는 화재를 막아 준다는 의미로
거북이 암수 한 쌍이 조각되어 있고
정전 뜰 양 옆에 화재에 대비해 물을 담아
두는 그릇인 드므가 있다
국보 제317호 태조어진
청룡포를 입고 있는 전신상 어진으로
건국자의 위엄이 서려있다
전주 사고
전주사고 실록각(實錄閣)
우리나라는 고려시대부터 춘추관과
예문관을 상설하고 사관을 두어 날마다 시정(時政)을
기록하였으며, 한 임금이 전왕시대의
역사를 편찬하여 이를 실록이라 하고 특별히
설치한 사고에 봉안하여 왔다
전주 이씨의 시조인 이한과 그 부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
태조 이성계는 이한의 21대 후손이다
이곳에는 국보 제317호인
태조어진을 비롯해 태조어진을 봉안할 때
사용된 각종 가마유물 및 경기전 관련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어진박물관에는 어진실, 역사실, 가마실,'
상시체험실이 있다
왕의행렬 어진반차도
조선왕실 계보도 태정태세문단세....
오목대와 이목대 관련 자료도 보관되어 있다
이성계가 대풍가를 불렀던 오목대 비각
'태조고황제주필유지비'
목조 이안사가 전주를 떠나기 전에 살았던
이목대 비각 '목조대왕구거유지비'
반차도 디지털 컬러링 체험실
상시체험 탁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