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태조이성계 역사탐방 남원 황산대첩비


전라북도 태조이성계 역사탐방 남원 황산대첩비


남원 운봉면 황산 아래

조선 건국 태조 이성계의 승전을

기록한 남원 황산대첩비



고려 우왕 6년(1380)에

이곳 황산에서 왜구를 크게 무찌른

이성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선조 10년(1577) 왕명을 받아

황산대첩비를 건립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때 황산대첩비와 비각

등이 함께 파괴되었습니다



황산대첩 일 년 후 다시 마을을

찾아 마을 뒤편 큰 바위에 그날을 함께한

여러 공신들의 이름과 행적을

적었다고 합니다, 어휘각은 이 바위를 보호

하기 위해 1973년 만든 비각 입니다



어휘각(御諱閣)

조선 태조 이성계 장군이 황산대첩

(고려 우왕 6년, 1380)이 자기 혼자만의

공이라기보다는 여러 사람의 공으로

큰 승리를 거두었다는 성지를 석벽에 새긴

유적 어휘각은 황산대첩비지 삼문

가기 전 왼쪽으로 어휘각이 보입니다



남원 황산대첩비지 삼문입니다



황산대첩 기념비

황산(荒山)은 남원시 운봉읍 소재지

에서 동쪽으로 약 8km

떨어진 해발 695m의 바위산 입니다

1380년(우왕 6)에 삼도순찰사

이성계는 이 산에서 배극렴, 이지란 등과

함께 진포(군산)에서 패한 후 남원

지역에 결집해 있던 왜구들과 치열한 전투를

벌여 큰 승리를 거두게 됩니다



황산대첩 기념비 뒤 멀리 파비각이 보입니다



황산대첩비가 보관되어 있는

대첩비각(大捷碑閣)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고려 우왕 6년(1380)에 이곳 황산에서

왜구를 크게 무찌른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선조 10년(1577) 왕명을

받아 이곳에 황산대첩비를 건립

현종 8년(1667) 비각을 세운 뒤

고종 19년(1882)에 다시 고쳐 지었으며

이때 어휘각을 창건하였습니다



황산대첩비를 세울 때

사용한 것으로 얼굴은 용의 형상을,

몸통은 거북형체를 하고

있는 황산대첩비 거북받침돌



파비각(破碑閣)

고려말 이성계가 왜구와 싸워

대승을 거둔 전투를 기념하기 위하여

조선 선조 때 세웠던 비석



일제강점기 때 황산대첩비와 비각 등이 함께 파괴되었던

파비각(破碑閣)



황산대첩사적비

고종19년(1882) 운봉현감

이두현이 세웠던 화수산비각비를

1958년에 중건한 비 입니다

일제강점기 때 황산대첩비와

비각 등이 함께 파괴되었고, 비문에는

황산대첩 전황과 비각건립 취지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